닉네임 버더라는 분의 말씀대로 LG 도감에 실려있는 Marbled Murrelet의 그림과 다른 것입니다.
도감 수정이 있어야 겠네요.
과거 1998년 까지 Long-billed Murrelet는 Marbled Murrelet의 아종으로 간주되었다고 합니다.
겨울깃의 Long-billed Murrelet와 Marbled Murrelet의 두 종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Long-billed Murrelet Marbled Murrelet
두 종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목(nape, A) 부분의 진한 정도입니다.
또한부리의 길이(B)도 눈여겨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여름깃도 한 번 비교해 보겠습니다.
Long-billed MurreletMarbled Murrelet
멱부분(C)과 눈테(B)가 가장 특징적이며 Long-billed Murrelet의 깃이 전체적으로어두운 것이 더 일관성을 가집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겨울깃과 여름깃이 많은 차이가 납니다.
즉, 겨울깃을 흑백이 차이가 확실하지만 여름깃은 거의 검은색에 가깝습니다.
Auk(바다오리류)의 깃은 이 두종의겨울깃처럼 보통 검은색과 흰색의 대조를 이루는 색을 가집니다.
이러한 이유는 물 표면 위에서의 포식자와 아래에 있는 먹이로 부터 눈에 띠는 것을 가리기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노출된 서식지에 독립적으로 둥지를 트는 Long-billed Murrelet와 Marbled Murrelet는 들꿩이나 도요류들이 둥지를 틀 때해진 깃털로 위장을 하듯이 회색이나 적갈색의 어정쩡한 깃털을 갖는 것이 특징입니다.
겨울이 되면 바다에서 생활하기에 더 적당한 흑백 대조의 깃털로 다시 전환됩니다.
이렇듯 둥지를 틀 때 포식자로부터의 위험을 피하기 위한 이 두종의겨울깃과 여름깃의 큰 변화가 공통적이기도 하지만
또한 Marbled Murrelet처럼 Long-billed Murrelet도아래 그림과 같이 놀랄만한 장소에 둥지를 튼다는 것입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Marbled Murrelet이 72km나 육지로 들어와 이끼로 덮혀있는 높은 침엽수의 나뭇가지에 둥지를 튼다는 사실이 처음밝혀진 것은 1974년이라고 합니다.
독립적이고 내륙 깊숙이 까지 들어와 둥지를 트는 Marbled Murrelet와 달리 대부분의 Auk는군집을 이루어 굴을파거나
바위에 생긴 틈에 둥지를 트는 것이일반적입니다.
이러한 특징을 보면 Marbled Murrelet와의 만남이 기다려집니다.
아래 그림은 Marbled Murrelet가 활동적(active)일 때와 쉴(relaxed) 때의 깃 패턴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활동적일 때는 날개가 노출되어 전체적으로 어둡게 보이지만, 쉴 때는 옆구리(Flanks)의 깃에 의해 가려져 하얗게 보여
전체적인 흰색부분의 노출정도가 극적으로 변화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운이 좋아 이런 새를 보게되면 이러한 점도 함께 관찰하는 것도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2009년12월 13일
장사항
'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부리바다오리 Thick-billed murre (21) | 2010.01.13 |
---|---|
메추라기 Japanese Quail (25) | 2010.01.07 |
흰수염바다오리 Rhinoceros Auklet (14) | 2010.01.04 |
바다쇠오리 Ancient Murrelet (18) | 2009.12.31 |
고니 Tundra Suwan (13) | 2009.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