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큰부리바다오리 Thick-billed murre

Brunnich's Guillemot

(in Europe)

올해는 겨울깃을 만났습니다.

작년에 만난 여름깃 큰부리바다오리를 첨부해봅니다.


뺨부터 멱부분까지 검은색이 이어지는 것이 겨울깃과 가장 큰 차이입니다.

겨울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개체는 여름깃이 그대로 있다는 것이 특이합니다.

LG도감엔 바다오리는 나오지만 큰부리바다오리는 나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큰부리바다오리를 그리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겨울깃의 큰부리바다오리와 바다오리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바다오리 Common Murre][큰부리바다오리 Thick-billed Murre]


큰부리 바다오리는 뺨 뒷부분(A)이 거의 검고, 부리(B)가 두툼하며, 부리에 하얀 부분(C, gape line)이선명하게 있으며,

옆구리에 줄무늬(D)가 없는 것이 바다오리와의 가장 큰 차이입니다.

두 종의 부리를 좀더 자세히 비교해 보겠습니다.

아래 사진은 최근 시니피앙님께서 찍은 사진입니다.

부리를 보시고 Common인지 Thick-billed인지 맞추어 보세요^^

(아래 사진 출처 : http://blog.paran.com/signifian조성식님 )






이제 욘석이 첫번째 겨울깃인지 어미새인지 궁금해집니다.

1st winter와 Adult의 부리 모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미새가 부리도 크고 gony가 거의 중간에 위치합니다.

그래서 욘석은 어미새같습니다만....

큰부리바다오리는 바다속에서 헤엄을 칠 때 추진력을 날개를 통해서 얻습니다.

(가마우지류, 오리류는 주로 발을 통해서 얻습니다.)

바닷물 속에서 항력(drag)를 줄이기 위해 날개를 일부분만 폅니다.

이것은 하늘을 날 때를 비교할 때 표면 노출이 반 정도 밖에 안되는 양입니다.

바다오리류의 알은 아래 그림과 바위 틈에 낳습니다.

따라서 굴러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쪽이 뾰족하게 생겼다고 합니다.

같은 종임에도 불구하고 알의 무늬가 다양한 이유 중의 하나는 어미가 자기의 알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라고 합니다.

(인터넷자료)


(인터넷자료)


Auk(바다오리류)의 가장 큰 관심은 바로 인간에 의한 개체수 감소입니다.

최대의 사건은 바로 Exxon Valdez 기름 유출사고 입니다.

이 기름 유출 사고로 350,000마리의 해양성 조류가 죽었으며 대부분은바다오리였으며 나머지도 바로 Auk였다고 합니다.

800여 마리의 바다오리의 기름을 씻는데 무려 4,100만 달러를 들였다고 합니다.

그러나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생존률이 매우 낮았다고 합니다.

(인터넷자료)

[1989년, 3월 24일에 발생한 이 사고는 무려 1,080만 갤런의 기름이 유출되고 워낙 사고의 규모가 큰거라서 백과사전에 실릴 정도였다. 앵커리지법원에서 287밀리언달러 벌금과 약5천억의배상금을 지급했고 당시 5천억달러의 배상금은 Exxon 1년의 순수익금이었다. 사고 선박은 5300만 갤런의 기름을 캘리포니아로 운송을 할 예정이나 산호초에 충돌하면서 20%의 기름을 바다로 유출을 하게 되었다. 태안 기름 유출사고의 유출량은 Exxon Valdez의 1/4 규모이다.]

(인터넷자료)

(인터넷자료)



(인터넷자료)

또 하나는 어부가 물고기를 잡기위해 친 그물(gill net)에 의한것입니다.

(인터넷자료)



(인터넷자료)


밝은 빛을 내며어류를 잡는어선이나 작업 중인 배는 Auk 중 야행성을 띠는 종류에게 시각을 혼동시켜

배 등에 충돌을 유도하여 죽음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또한 인간에 의해 유입된고양이는 어미새와 어린새를 잡아먹으며, 쥐는 알과 어린새를 잡아먹어

많은 개체수를 감소시킨다고 합니다.

지금은 많이 조절되고 있지만 과거에는 Auk의 고기, 깃털, 지방, 알, 그리고 고기잡이를 위한 밑밥 등으로

많은 수가 희생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1844년을 마지막 기록으로 남으며 멸종한 Greak Auk입니다.

(인터넷자료)

Auk는 헤험을 쳐서 주로 살아가기 때문에 발이 몸 뒤로 위치해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육지에서 설 때 아래 그림과 같이 발가락이 아니라 발목을 사용합니다.

(예외적으로 Puffin은 발가락으로 섭니다.)

(인터넷자료)

헤험을 잘 치기 위한 Auk의 진화는 결국 펭귄처럼 날지 못하는 Great Auk를 만들어내었죠.

이렇게 날지 못한 Great Auk는 인간에 의해 쉽게 사냥이 되었고, 이제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 종이 되어버렸습니다.



2009년12월13일 장사항 앞바다


제이크 마음으로...

네이티리 마음으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털발말똥가리 Rough-legged Buzzard  (12) 2010.01.22
옅은밭종다리 Water pipit  (23) 2010.01.14
메추라기 Japanese Quail  (25) 2010.01.07
알락쇠오리 Long-billed Murrelet  (9) 2010.01.06
흰수염바다오리 Rhinoceros Auklet  (14) 2010.01.04